2월 26일, 흰눈이 제법 쌓인 날 아침 황당한 일을 겪어야했다. 분통 터질 일이다.
집에서 좀 먼 곳에 주차를 해 둔 탓에 아침에 차를 집앞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차가 있는 곳으로 갔다. 차 위에 눈이 제법 쌓여 있었다. 키를 돌리는데 문이 열리지 않았다. 눈이 녹으면서 얼었구나 생각했다. 문이 얼 만큼 추운 날씨는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지만 그 상황에서는 그 생각밖에 들지 않았다.
하는 수 없이 조수석 쪽으로 가서 문을 열려고 하는데 문이 5센티 쯤 열려있는게 아닌가? 아니나 다를까 밤새 ‘그분’이 다녀가셨다. 조수석 글로브박스(일명 다시방 혹은 서랍장)는 열려있고 여기저기 뒤진 흔적으로 차내는 난장판이 돼 있었다. 컵 놓는 자리에 있는 동전 몇 개까지 챙겨갔다.
새삼 놀랄 일도 아니다. 이번이 벌써 네 번째 털렸기 때문이다. 그때마다 차내는 난장판이 됐고 동전 몇 개만 털렸을 뿐이다. 기분은 나빴지만 크게 잃어버린게 없으니 “도둑 너만 헛수고 했다”고 생각하며 가볍게 넘기곤 했다.
여하튼 조수석으로 들어가 운전해 집앞으로 차를 이동했다. 아무 생각없이, 늘 그랬던 것처럼 운전석 왼쪽에 있는 단추를 눌러 앞, 뒷문 모두를 잠궜다. 집으로 들어오다가 문득 이상한 생각이 들어 다시 차로 가보았다.
여전히 운전석 키는 열리지 않아 이번에는 조수석 키를 돌려보았다. 그런데 이게 무슨 일인가? 조수석 키도 꿈쩍 안하는게 아닌가? 순간 얼어붙어 문이 열리지 않는게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운전석, 조수석 키 구멍을 자세히 살펴봤다.
도둑이 쇠꼬챙이로 엄청 후벼댄 흔적이 보였다. 운전석이 안되니까 조수석까지 후벼대며 결국 조수석 문을 열고 동전 몇 개를 털어갔으며 조수석 문을 5센티 쯤 열어둔채 달아난 것이었다. 열린 조수석 문으로 내가 들어가 운전해 차를 이동했고 양쪽 키가 망가진 상황을 모르고 안에서 문을 잠궈버린 것이다.
보험 긴급 출동 서비스를 불러 차문을 열었다. 슬슬 약이 오르기 시작했다. 망가진 키 수리비용이 걱정되기 시작했다. 멀쩡한 차를 망가뜨린 도둑이 원망스러웠다. 아침부터 이게 무슨 고생이란 말인가?
가까운 정비소에서 견적을 받았다. 차종은 지엠 대우 마티즈 99년식 수동, 견적이 9만원 나왔다. 운전석, 조수석 키와 시동거는 키박스, 트렁크 키 까지 모두 교체해야하는 상황이었다. 수리하는데 시간도 네 시간 이상 걸린다고 했다.
따지고 보니 도둑은 단순히 동전 몇 개만 가져간게 아니었다. 9만원을 털어간 셈이다. 부품이 오래돼 교체해야 할 것이라면 당연히 그렇게 해야겠지만 멀쩡한 차를 훼손시키며 생돈 들어가게 만든 도둑들을 생각하니 화가 치밀어 올랐다. 몇십원, 몇백원 아끼기 위해 엄청 노력하는 아내를 보면서 도둑에 대한 분노는 더 커졌다.
그나저나 앞으로도 걱정이다. 9만원 들여 교체를 한다고 해도 언제 또 도둑이 들지 모르기 때문이다. 같은 장소에서 벌써 네 번이나 당했는데 또 찾아오지 않는다는 법이 없지 않은가? 그렇다고 밤새 불침번을 설 수 도 없는 노릇이고...
마티즈, 아토스, 비스토, 모닝, 티코 등 경차 운전자들은 늘 조심하시길... 전에도 뉴스보도 나갔지만 ‘뚝딱’ 하고 3초 만에 차문이 열리는 차종이 경차라고 하니 말이다. 경차에 도난방지 장치 설치할 게 아니라면 차에 귀중품을 놓고 다니지 않는 것이 무엇보다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법일 것이다.
물론 내 경우처럼 키를 마구잡이로 쑤셔놓아 망가뜨리면 속수무책으로 당하는 수밖에...
가뜩이나 경차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 주차료 할등 등으로 많이 팔리고 있는 추세인데 이렇게 되면 차도둑들은 신나고 경차 운전자들은 불안해야 하는 걸까?
방금 정비소에서 전화 왔는데 도어락 뭐가 또 같이 망가져서 2만5천원 추가해야한다고 하네요. 총 견적 11만 5천원 나왔네요.
오후 3시인 방금전 차를 찾아왔는데 도어락 뭔가 하는게 2만5천원이 아니라 4만5천원이라고 하네요. 그래서 총 견적 13만5천원 나왔네요.
차 지키기 위해 밤새 불침번을 설 수도 없는 노릇이다. ⓒ 윤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