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에서의 발견

쇠고기와 돼지고기 구분 못하는 사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왼쪽이 처음에 잘못 산 쇠고기 5천원어치, 오른쪽이 제대로 사온 돼지고기 1근 3600원 어치. 쇠고기와 돼지고기도 구분 못하는 눈뜬 봉사 남편이라..



쇠고기, 돼지고기 구분 못하는 남편, 또 있을까요?
쇠고기는 국거리, 돼지고기는 찌개거리,


아내가 돼지고기 한근만 사오라고 합니다. 비계 없는 부분으로 국거리로 한근만 사오라고 5천원과 정립카드를 줍니다. 고기집에 들어왔습니다. 5천원짜리를 펄럭이며,

“돼지고기 비계 없는 걸로 국거리 한근만 주세요.”

“국거리요? 국거리는 쇠고기인데요.”
“예? 아, 분명히 돼지고기 국거리 사오라고 했는데요.”
“국거리는 쇠고기이고, 찌개거리는 돼지고기에요. 국거리인가요? 찌개거리인가요?”
“네, 돼지고기 국거리요. 한근만 주세요.”

손으로 한웅큼 고기를 집더니 봉지에 담아 저울에 올려놓으니 딱 오천원어치입니다. 돼지고기 한 근이 이렇게 적은가 좀 의아해했지만 별 의심 않고 집으로 왔습니다. 겉옷 벗고 쉬려고 하는데 아내가 울상을 짓습니다.

왜 쇠고기를 사왔냐고 합니다. 어, 이상하다. 분명히 돼지고기 달라고 했는데 내가 사온게 쇠고기였다니... 생각해보니 국거리-쇠고기, 째개거리-돼지고기, 이 관계가 헷갈렸던 모양입니다. 국거리-돼지고기, 찌개거리-쇠고기, 순간 이렇게 이해했던 모양입니다. 정육점에서 국거리인가요? 찌개거리인가요? 물어봤던것도 혼돈이었고...

아내는 가서 돼지고기로 바꿔오라고 합니다. 그냥 쇠고기 쓰면 안되냐고 물었습니다. 기왕 이렇게 된거 이참에 쇠고기 한번 먹어보자고요. 바꿔 오기도 좀 쑥스럽기도 하고... 그런데 아내는 쇠고기 쓰면 우러나는 맛이 없다고 합니다.

살림에 무심한 남편, 이럴 때 탄로난다

그러다가 아내는 바꾸지 말고 돼지고기를 사오라고 합니다. 잘못 산 쇠고기는 나중에 먹으면 되니까요? 이번에는 국거리인지, 찌개거리인지 확실히 알려달라고 아내에게 말했습니다. 그런데 아내가 갸우뚱 합니다. 물 적당히 넣고 감자, 양파, 돼지고기 넣어 끊이는 것인데, 그것이 국인지, 찌개인지 갸우뚱 하고 있습니다.

결국 다시 알려주기를 ‘국거리든 찌개거리든 중요한건 돼지고기 잘게 썰어놓은 것’으로 한근만 사오라고 합니다. 정육점 다시 가서 “고기를 잘못 샀네요. 국거리인지, 찌개거리인지 여하튼 잘게 썬 돼지고기 주세요.”라고 했습니다.

한 근 3600원어치인데 쇠고기보다 두 배 이상 많습니다. 붉은 색깔도 쇠고기보다 좀 어둡습니다. 자세히 들여다보니 쇠고기와 돼지고기의 차이를 알 수 있었습니다.

그러고보니 제가 참 무딘 것 같습니다. 처음에 돼지고기 주문했을 때 색깔이나 양으로 척 알아봤어야했는데 그것을 간과한 것입니다. 심부름 하나 제대로 하지 못하는 제 자신.....남자들이 살림, 요리 등 가정사에 무심하다는 반증이라고 할까요?

국 - 고기, 생선, 채소 따위에 물을 많이 붓고 간을 맞추어 끓인 음식.

찌개 - 뚝배기나 작은 냄비에 국물을 바특하게 잡아 고기·채소·두부 따위를 넣고, 간장·된장·고추장·젓국 따위를 쳐서 갖은 양념을 하여 끓인 반찬.